한국은행 충북본부, 서비스업 일자리 창출 방안 조사 연구

클립아트 코리아

[중부매일 김정미 기자] 고용창출력이 높은 서비스 부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제조업 기반이 강한 충북 내 산업구조를 활용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산업 연계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회사법인 형태의 서비스 기업 비중이 전국에 비해 크게 낮은 만큼 제조업 중심의 투자유치 전략을 서비스업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 충북본부 기획조사팀 김광민 과장은 3일 '충북지역 서비스업 일자리 특징과 일자리 창출 방안' 제하의 조사연구자료를 발표하고 이 같이 주장했다.

김 과장은 "최근 사회적으로 일자리 창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고용창출력이 높은 서비스업 일자리 특징과 일자리 창출 방안을 충북 중심으로 모색해 봤다"며 "충북 서비스업은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주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탄력성과 취업유발계수가 하락하는 등 일자리 창출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국보다 일자리 비중 낮아

실제 충북지역 전체 일자리에서 서비스업 일자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기준 61.0%에 달했지만 전국 69.6%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충북지역 전체 일자리 수는 83만9천개로, 제조업 17만개, 건설업 5만5천개에 그쳤지만 서비스업은 51만2천개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도소매(17.9%), 음식·숙박(13.0%), 보건·사회복지(11.9%), 교육(11.3%)이 서비스업 내에서 10% 이상의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전국 대비 일자리 비중은 도소매(17.9%)와 전문·과학·기술(3.3%), 정보·영상(2.1%)에서 특히 전국(각각 20.2%, 6.0%, 4.2%)보다 일자리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증가세에 있어서는 보건·사회복지분야에서 2만개, 사업지원서비스 2만개, 음식·숙박 1만9천개, 운수 1만개 순으로 일자리가 큰 폭 증가했고, 교육(-2천개), 전문·과학·기술(-1천개) 서비스 일자리는 감소했다.

김광민 과장은 "2010~2016년 충북의 서비스업 일자리창출 기여도는 12.2%p로 전국 서비스업 일자리 창출 기여도(10.7%p)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고용탄력성은 2012년 2.1에서 2016년 0.6으로, 취업유발계수는 2010년 21.4명에서 2013년 20.9명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안정적 상용직 일자리 늘려야

전국에 비해 충북의 서비스업 취업구조가 취약한 이유로는 상대적으로 고용형태가 안정적인 법인의 서비스업 내 일자리 비중(2015년 기준 46.9%)이 전국(52.5%)보다 낮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회사법인의 비중은 22.5%로 전국(34.6%) 수준을 크게 하회했다.

김 과장은 상용직 일자리의 서비스업 내 비중(2015년 기준 54.6%)이 전국(60.2%)보다 낮고, 전국과의 서비스업 임금 격차는 최근 더 확대됐다는 점을 주목했다.

조사 자료에 따르면 상용 월 급여액 기준 전국과 충북의 서비스업 임금 격차는 2010년 11만원에서 2016년 36만원까지 벌어졌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의 임금 수준은 전국의 70.4%에 불과했고, 2010~2016년 충북 서비스업 임금 수준별 일자리의 경우 고임금은 4천개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저임금 일자리는 4만3천개 증가한 것도 충북 서비스업 일자리 특징으로 나타났다.

김광민 한국은행 과장


김광민 과장은 "충북 서비스업 노동시장은 직장을 찾는 노동공급이 구인을 필요로 하는 노동 수요보다 많은 초과 공급 상태"라며 "제조업이 강한 충북의 산업구조 특성을 적극 활용해 서비스업 중에서도 중간투입재 성격이 강한 생산자서비스를 육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정보시스템 등 전문·과학·기술 및 정보 서비스를 영위하는 전문 서비스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전문 서비스업은 인적자본이 주요 생산요소인 만큼 수요자 맞춤형 전문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우수인력 양성 프로그램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취업준비생,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기술 교육 및 훈련 서비스업 육성, 오송생명과학단지 바이오산업의 비약적 발달 가능성을 고려한 의료 및 보건서비스업 육성, 경쟁력 있는 외부 지식기반서비스기업 유치 및 기존 지역업체 육성을 병행해 일자리 창출력을 제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