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아리] 박상준 논설실장·대기자

사진은 세종호수공원 전경/ 뉴시스

최근 서울 인구는 감소추세지만 60~70년대 서울은 급팽창하는 질풍노도(疾風怒濤)의 도시였다. 패티킴의 '서울의 찬가'가 히트하고 이호철의 소설 '서울은 만원이다'가 베스트셀러가 됐던 1969년 서울인구는 500만명 돌파했다. 이후 서울은 불과 10년도 안돼 1천만 명을 넘어섰다. 해방 당시 서울의 인구는 90만명, 이 인구가 10배 이상 늘어나는 데는 불과 40년이 걸리지 않았다. 1977년 1월 박정희 전 대통령이 행정수도를 건설계획을 발표한 것은 국토균형발전과 안보 취약점도 있지만 서울의 국부(國富)편중화와 인구과밀화 해소가 결정적이었다. 유신정권은 다만 행정수도 이전은 통일 될 때까지만 임시 행정수도로 활용하고 통일 후에는 서울을 수도로 한다는 대전제를 세웠다. 하지만 유신정권의 행정수도 계획은 10.26사태로 물거품이 됐다.

이후 행정수도가 쟁점이 된것은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2년)때다. 박빙의 승부에서 선거 막판 노무현 후보가 행정수도를 충청도로 옮기겠다는 공약으로 대권을 거머쥐었다. 노 후보는 선거유세에서 "내가 대통령으로 당선이 되면 신 행정수도 건설위원회를 만들어 1년 내에 입지선정을 끝내고 2~3년 내에 1,500만평의 부지에 수용인구 50만 명의 도시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메가톤급 공약이 현실화 되는 것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충남 공주시 장기면 대평리와 연기군 일대에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가 들어선 것은 어찌 보면 '땅의 운명'이다. 유신정권 시절에도 이곳은 유력한 후보지였다. 당시 모 경제지는 역사적 지리적 상징성을 감안해 대놓고 충북 진천군을 밀었지만 공주·연기에 밀렸다. 총면적 464.90㎢ 에 인구 50만 명을 수용하는 도시로 설계된 세종시에는 올 1월말 현재 40개의 중앙행정기관과 15개 정부출연 기관이 이전을 끝냈다. 또 마치 블랙홀처럼 대전·청주와 수도권 인구를 빨아들이면서 몇 년 새 25만 명으로 가파르게 늘었다.

세종시는 지난 20일 행정중심복합도시 착공 10주년을 맞았다. 또 올해는 세종시 출범 5주년이 되는 해다. 이 짧은 기간에 한적한 농촌은 첨단 기술과 자본이 집약된 행정도시가 됐다. 정부종합청사가 넓은 호수와 금강에 접해있고 그 주변에 아파트단지가 숲을 이루었다. 서울~세종간 고속도로와 세종~청주간 고속도로가 조기에 착공되는 등 도로인프라도 눈부시게 변하고 있다.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표현이 자연스럽다. 전국에서 시민의 평균연령이 가장 낮은 이 '젊은도시'는 쾌적한 주거 환경과 향후 발전가능성 때문에 한동안 아파트 투기장으로 변질되기도 했다. 지금도 아파트가격 오름폭이 가장 크다.

박상준 논설실장·대기자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최근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통해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도시로 육성하겠다는 뜻을 천명했다. 하지만 세종시가 행정수도로 완성되려면 개헌을 통해 행정수도 세종시가 명문화돼야 한다. 행정과 정치가 공간적으로 분리되면서 발생하는 비효율적이고 불합리한 구조는 끊임없이 논란의 대상이다. 국정 효율성 추구와 권력과 부의 분산을 통한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세종시 행정수도는 조속히 완성돼야 한다. '국토균형발전'의 상징인 세종시가 행정수도라는 꿈을 이룰수 있을까.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