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우종재 충남 서산시의회 의장

위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해당 기사와 직접적 연관이 없습니다/ 클립아트코리아

극심한 가뭄이 계속되면서 논밭을 바라보는 농심(農心)은 새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 가뭄은 소박한 농촌마을의 풍경까지 바꿔놓고 있다. 오순도순 살아왔던 마을에서 물 사용을 두고 이웃 간 분쟁이 여기저기서 벌어지고 있다. 급기야 한 방울의 비라도 내려주길 간절히 빌며 전국 각지에서 기우제까지 열리고 있다. 2017년 여름, 대한민국은 나라 전체가 가뭄으로 신음 중이다. 그 중에서도 충남 서북부 지역의 가뭄 피해가 악화일로다. 이 지역에 물을 공급하는 보령댐의 저수율은 8% 추락을 앞두고 있다. 2015년 제한급수의 악몽이 코 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당장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모내기를 마친 뒤 말라버린 논이 충남에서만 160ha에 이르고 있다. 국가 식량 안보의 한 축을 담당하는 서산 AB지구의 피해는 말할 수 없을 정도다. 염도 상승으로 고사 피해가 속출하면서 모내기를 두 번 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지고 있다. 또 우리나라 3대, 세계 5위의 대산석유화학단지는 공업용수를 대는 대호호의 저수율이 떨어지면서 당장 공장 가동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당면한 가뭄 극복을 각 지자체는 관정 개발과 양수장 설치, 저수지 준설 등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그렇지만 충남의 올해 평균 강수량이 예년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 곳의 가뭄이 매년 반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만큼 가뭄 극복을 위한 중장기적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할 때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키워드인 '공유'와 '네트워크'개념을 물 관리 분야에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물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지역에서 부족한 지역으로 보내는 시스템이 갖춰진다면 가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수로 운용 확대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충남도의 경우 보령댐이 경계단계에 진입한 지난 3월부터 보령댐 도수로 가동이 시작됐다. 금강 백제보와 보령댐 21Km를 잇는 이 도수로 운용을 통해 하루 11.5만 톤의 물이 유입돼 농업·생활·공업용수로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된 우리나라는 기존의 댐과 하천, 저수지의 물길을 서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하루빨리 마련할 필요가 있다.

물을 서로 연결하는 것은 가뭄 극복뿐만 아니라 홍수 예방,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도 많은 효과가 있다. 특히,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충남의 경우는 효율적인 용수 배분이 시급하다. 문제는 관로가 없어 이 물을 적시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량 생산의 전진기지인 충남 서북부 지역 물 부족 해결을 위해서는 담수호 간 물길을 연결해야 한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실리는 이유다.

우종재 충남 서산시의회 의장

그렇지만 이러한 사안들은 정부의 관심과 의지가 없으면 사실상 추진이 어렵다. 예로부터 치수(治水)는 나라의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였다. 21세기, 그것도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인 대한민국에서 물이 부족해 농작물이 타들어가고, 그 농작물을 자식같이 기른 농민들이 울고 있다. 이것을 해결하는 것보다 더 시급하고 심각한 일이 또 무엇이 있겠는가. 정부와 정치권이 가뭄 해결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물 부족으로 농사를 못 짓고, 고민하는 일만은 다시는 없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