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에 따르면 전체 임금근로자의 45%는 월급이 200만원 미만이다. / 인포그래픽 뉴시스

통계청이 임금근로자 임금실태를 발표한 어제 인사혁신처는 공무원 월평균 소득을 관보에 고시했다. 놀라운 곳은 9급 공무원부터 국무총리에 이르기까지 전체 공무원의 세전 월 평균소득이 500만원을 돌파(510만원)한 것이 아니다. 임금근로자 절반가량이 200만원에도 못 미치는 월급을 받고 생활한다는 점이다. 올 최저임금이 135만2천230원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 근로자들이 얼마나 열악한 처우 속에서 일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대선후보들이 저마다 근로자 임금차별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지만 대기업·공무원과 중소기업·비정규직 임금격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대다수 근로자의 행복지수가 높아지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살펴보면 고용의 질이 얼마나 떨어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전체 임금근로자 1천968만7천 명 중 월수입 100만∼200만 원이 33.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200만∼300만 원은 14.2%, 400만 원 이상은 14.2%를 차지했다. 월수입 100만원 미만도 11.4%에 달했다. 또 소매업 취업자수가 229만9천명(8.6%)으로 가장 많았는데 특히 경기 불황 여파로 음식점 및 주점업 취업자 비중 순위가 높아졌다. 기업체 구조조정의 여파로 4050세대의 자영업 진출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성 취업자들이 주로 취업한 음식서비스직은 급여가 적은 것은 물론 경기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다는 점에서 고용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 쥐꼬리만 한 급여에 불안한 고용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이다.

반면 공무원급여는 꾸준히 올랐다. 올해 공무원의 세전 월 평균소득은 지난해보다 19만 원(3.9%) 인상됐다. 공무원의 월 평균소득이 500만 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전 연봉으로는 6천120만 원 수준이다. 물론 공무원 급여가 대기업·금융업종과 비교하면 많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큰 잘못이 없으면 정년이 보장되고 급여수준도 만만치 않다. 공무원시험에 수십, 수백대일의 경쟁률을 보이는 것이 무리는 아니다.

대선주자들은 우리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타개할 현실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공무원뿐만 아니라 대기업 귀족노조와 억대 연봉을 받는 금융기관 종사자들이 해마다 임금투쟁을 벌이고 있지만 이들보다 더 많은 근로자들이 살인적인 저임금에 팍팍한 삶을 이어가고 있는 것을 직시(直視)해야 한다. 근로자 절반이상의 월급이 공무원 급여와 비교해도 40%도 채 안된다. 하지만 저소득 근로자들은 대부분 임금인상에 대한 기대도, 희망도 없다. 특히 청년층은 고용환경은 물론 임금 사정도 열악하다. 이 같은 양상은 정규직보다 급여 수준이 낮은 아르바이트, 시간제근로 등 비정규직이 전체 임금근로자의 32%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은 미국과 같은 선진국도 고민이다. 하지만 근로자의 절반이 월급여 200만원도 못 받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현상이다. 이들의 월급이 공무원 평균의 절반수준으로 인상돼도 삶의 질이 달라질 것이다. 대선후보들은 허황된 공약을 남발하기에 앞서 수많은 근로자들의 생활고(生活苦)부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